지속가능한 메타버스 플랫폼을 위한 7가지 조건

0
1072

메타버스가 비즈니스로서 가치를 얻으려면 해당 플랫폼이 제대로 성장해야 합니다. 첫 시작은 많은 투자 및 기술 개발을 해야 하며, 양질의 콘텐츠를 생산할 수 있는 대기업이 이끌어가겠지만, 5G와 클라우드 등의 인프라 기술과 하드웨어 개발, 디바이스 혁신, 양질의 콘텐츠를 지속적으로 생산해 내는 기업이 메타버스 시장을 주도할 것입니다. 지속가능한 메타버스 비즈니스를 위한 필요한 7가지 선결과제는 무엇이 있을까요?



현재 기업별 메타버스 수익원

  • 인프라 구축을 통한 5G, 클라우드 등 솔루션 이용료
  • 디바이스, 부품 등 하드웨어 판매
  • 라이센스 이용료, 플랫폼과 서비스 구축 비용, 추가 솔루션 등 콘텐츠 이용료
  • 광고 및 아이템 거래 수수료, 가상자산 거래 수수료, 공연 관람 수수료, 멤버십 서비스, 광고료 등

메타버스 비즈니스 시장은 걸음마 단계입니다. 따라서 해당 플랫폼을 통한 수익원은 주로 기업들에 의해 발생되며 그 종류도 극히 제한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메타버스 플랫폼은 성장할 것이며, 지속가능한 메타버스 비즈니스를 위해 선결되어야 하는 7가지 조건이 있습니다.

지속가능한 메타버스 비즈니스를 위한 조건

지속가능한 메타버스 플랫폼이 되기 위한 조건 7가지

  1. 지속성
  2. 등가성 및 실시간성
  3. 제한이 없는 참가인원
  4. 메타버스 공간에서 완전한 자체 경제가 가능
  5. 확장될 수 있는 경험
  6. 데이터와 디지털 자산 등 상호 운용성 보장
  7. 광범위한 기여자들이 제작, 운영하는 콘텐츠 경험 가능할 수 있어야

메타버스 성장을 위해 위의 7가지 선결 조건이 필요합니다. 현재 메타버스 시장은 초기 단계입니다. 그렇다보니 게임, 엔터테인먼트 분야에서 메타버스 비즈니스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지만 곧 쇼핑과 광고, 패션, 유통 등의 여러가지 분야로 확대될 것은 자명합니다.

메타버스 가상공간 속에서 개인과 기업할 것없이 누구나 차별없이 완벽한 자체 경제가 가능해야합니다. 또한 이들 모두 소유와 투자, 판매, 보상 등 부가 가치를 창출할 수 있어야 합니다.

개인 네트워크와 공용 네트워크 서로 간의 상호작용과 개방형 플랫과 폐쇄형 플랫폼 간에도 상호작용이 활발해야 합니다. 디지털 자산이 여러 플랫폼으로 전송도 가능해야 하죠.

개인과 공식 및 비공식 그룹, 상업적 거대 기업 등 다양한 주체가 참여할 수 있어야 합니다.



메타버스 플랫폼은 어떻게 변화되고 확장될 것인가?

초창기 성장에는 글로벌 기업들을 통한 확장과 이를 통한 일상의 변화 불가피

이전 글에서 2030년 정도에 메타버스 비즈니스 시장이 약 1,700조 원에 이를 것이라고 했습니다. 관련된 수 많은 전문가들 역시 VR(가상현실), AR(증강현실) 시장 역시 현재보다 약 15배 규모로 크게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는데요.

페이스북(현 메타)가 오큘러스를 인수하여 글로벌 VR 디바이스 점유율이 75%를 기록하였습니다. 데스크탑, 렙탑 등의 컴퓨터나 스마트폰이 없어도 자체적으로 가상현실을 즐길 수 있었던 것은 풍부한 콘텐츠 범용성이 있었기 때문이었습니다. 이에 페이스북은 오큘러스 디바이스가 반드시 필요한 ‘호라이즌’을 출시해 메타버스 서버스를 더욱 대중화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에 Apple 역시 곧 대중들에게 메타버스 시장이 서서히 스며드게 될 것으로 보고 자사의 아이폰를 필두로 웨어러블, 소프트웨어 등의 생태계에 AR 글라스로의 소비자 유입을 유도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해외 유명 글로벌 기업들은 메타버스 비즈니스를 위해 가상현실을 즐길 수 있는 하드웨어의 대중화와 플랫폼 확장으로 우리의 일상을 크게 변화시킬 것으로 보입니다.

지속가능한 메타버스 비즈니스, 5G 특화도시 걷고 있는 여성
메타버스를 통한 5G 특화도시

그러면 이에 우리나라 기업들은 어떠한 움직임을 보여줄까요?

우리나라는 2023년에 ‘5G 특화도시(관련기사)’ 건립 추진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구체적으로는 ‘스마트스쿨’, ‘자율주행 자동차 산업’, ‘스마트공장’, ‘메타버스 마켓’, ‘스마트치안’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5가지 핵심 서비스를 통해 구체적인 기획이 마무리 되었으며, 2022년에 사전 평가 및 후보지 선정을 마칠 것으로 보이는데요.마무리가 되는데요 2023년부터 해당 사업들이 시작될 것으로 보입니다.

함께 읽으면 좋은 글

Previous article메타버스 시대의 가상자산 비즈니스 흐름, NFT와 디지털 가상자산 4가지
Next article국내 메타버스 플랫폼 전망 및 흐름